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조꽃씨

최근작
2024년 12월 <[큰글자책] 모이라 게이튼스>

조꽃씨

경희대학교 철학과를 나왔다. 서강대학교 철학과 석사 과정에서 스피노자와 현대 프랑스 철학을 공부하고 “스피노자의 심신론에 관한 윤리학적 해석”으로 학위를 받았다. 모이라 게이튼스의 ≪상상적 신체: 윤리학, 권력, 신체성≫(2021)과 디네시 와디웰의 ≪동물과의 전쟁≫(근간)을 번역했다. 주요 관심사는 스피노자 철학과 신유물론 페미니즘이다. 인간과 비인간 사이의 물질적 관계에 대한 연구 그리고 관련 번역 작업을 지속하려 한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상상적 신체> - 2021년 1월  더보기

최근 한국 사회는 미투 운동, 주요 공직자들의 성폭력, 디지털 성범죄 사건 등으로 떠들썩했다. 그런데 인간 행동의 의미란 몰역사적 상수라기보다는 특정한 역사적, 정치적 맥락에서 전개된다. 범죄자 개인을 악마화하는 것보다 더 필요한 것은 그 개인들이 나오게 된 사회적 배경, 구조적 원인을 질문하는 것이다. 단순히 역사적으로 특권을 가진 남성들이 지배의 자리에 있어 온 것이 문제가 아니다. 게이튼스에 따르면, 근대 정치체의 짜임 자체가 남성 신체 이미지에 기초를 두고 성립되었다. 여성이 정치체로부터 배제된 것은 역사의 우발적 특성이 아니라 정치 사회에 대한 지배적 관념의 귀결인 것이다(2장 참조). 따라서 문제 삼아야 할 것은 정치체 그 자체, 우리가 발 딛고 있는 상상계이다. 우리 사회가 역사적으로 여성들을 어떤 존재로 대우해왔는지, 온전한 시민으로 인정해왔는지를 묻고, 현재에도 배제의 흉터를 계속해서 지니고 있는 체현된 관습, 제도, 사법 체계를 돌아봐야 한다. 우리의 성적 상상계에는 여성을 민주적 정치체의 자유롭고 이성적인 구성원인 동시에 남성의 자연적 권위 아래의 존재로 간주하는 역설이 존재한다. 따라서 게이튼스는 이 책 전반에 걸쳐서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이다. 여성을 비롯한 공동체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권력에서의 합치를 이루는 사회관계를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 신체들을 성별화하고 역량을 한계 짓는 상상계를 넘어서 우리 신체와 그 관계들의 어마어마한 다양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세계를 어떻게 생산할 수 있는가?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