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사진/그림

이름:박주석

최근작
2021년 11월 <한국사진사>

박주석

전북 임실에서 태어났다. 현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사진사 및 사진 기록 분야를 연구하고 있으며, 한국이미지언어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중앙대학교 사진학과를 졸업했고, 영국 에식스대학교에서 미술사 석사학위를, 중앙대학교에서 기록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대구예술대학교와 광주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1998년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한국사진역사전》 큐레이터, 2001년 독일 헤르텐에서 열린 《The Century of Korean Photography》전 큐레이터, 2006년 대구사진비엔날레 수석 큐레이터로 일했으며, 사진과 기록에 관련한 다수의 전시를 기획했다. 저서로는 『박주석의 사진 이야기』 『주명덕 JOO MYONG DUCK PHOTOGRAPHY』, 번역서로는 『사진예술의 역사』 『사진에 나타난 몸』, 주요 논문으로 「포스트모더니즘과 사진의 의미」 「사진과의 첫 만남-1863년 연행사 이의익 일행의 사진 발굴」 「1950년대 한국사진과 인간가족전」 등 다수가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한국사진사> - 2021년 11월  더보기

척박한 사진 문화의 현장인 한국 땅에서 제대로 된 대접 한번 받지 못하면서도 사진의 발전을 위해 노력해오신 선배 작가와 비평가 그리고 기관 활동가들의 노력이 없었다면 한국사진의 역사는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한국사진의 역사는 바로 이분들이 만들어온 이야기이고 살아온 흔적에 다름 아니다. 역사의 주인공이신 한국의 사진인들 모두에게 감사의 마음과 함께 이 책을 바친다. 책에서 거론한 작가들과 단체, 기관들 이외에도 사진을 업으로 삼고 활동했거나 하고 있는 셀 수 없이 많은 분들이 있다. 사진관의 주인으로, 기사로, 수정사로 활동한 분도 있고, 광고 분야에서 첨단의 대중 친화적 사진이미지를 만들어온 분도 있고, 사진기자로 사건의 현장에서 뉴스를 생산해온 분들도 있다. 직접 사진을 찍지는 않지만 카메라와 감광유제를 생산하거나 유통하는 산업 분야에 계신 분도 있고, 사진 전문 잡지와 단행본 출판계에서 활동하는 편집자나 평론가도 있다. 사진 전문 화랑이나 미술관에서 사진의 시장가치와 역사가치를 만들기 위해 일해온 큐레이터 분도 있고, 고등학교와 대학교에서 사진 교육을 통해 미래의 사진가를 양성하는 교육자도 있다. 모두 한국사진사의 주역들이고 식구들이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