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정성욱

최근작
2024년 4월 <장자와 데이터>

정성욱

1989년 서울대 공법학과를 졸업하고 KBS 프로듀서로 일하다가, 1996년 서울대에서 석사 학위를, 1999년 미국 일리노이주 소재 노스웨스턴Northwestern대에서 박사 학위를 언론학 전공으로 취득했다. 2000년부터 정보통신정책/문화산업정책 관련 연구소의 연구원, 대학교 시간강사, 케이블 텔레비전 편성 자문역 등의 일을 하다가, 2009년 봄에 ‘미디어연구소 봄’을 세워 성숙한 정치 언어의 확산을 통한 정치 질서 향상을 위해 힘써 왔다.
시청률 데이터의 질을 좌우하는 변인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한 데이터 문화 비교가 궁극의 연구 관심사. 이 책도 데이터 문화 비교 연구의 도정에서 거둔 결실이라 하겠는데, 다음은 데이터 지향 정치 언어의 관점에서 해석한 장자에 접근하는 데 디딤돌이 된 연구 결과물들을 발표된 순서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2021년. 논어와 데이터: 데이터 지향 정치 언어의 고전1. 미디어연구소 봄.
2018년.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경계에서 본 동해. 경희대 국제지역연구원 간 East Sea Rim, 28, 4-9쪽.
2017년. 시청률 분석 (번역서). 한울엠플러스.
2016년. The American Data Culture Since 1820: From Madison’s Political Philosophy to Nielsen Ratings. McGannon Center Working Paper Series, 35.
2012년. 한국의 법 전통과 소셜미디어 규제. 의정연구, 18(1), 109-144쪽.
동년 2월. 한국 사회와 과학의 언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정책 보고서 사회문화 융합형 과학기술정책 미래 이슈 기고).
2009년. 커뮤니케이션 효과론의 존재론적 전제. 커뮤니케이션 이론, 5(2), 185-221쪽.
객관보도의 위기와 전통의 힘. 언론정보연구, 46(1), 5-35쪽.
동년 6월. 공유형 수용자 조사의 유형 구분 (한국조사연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
2005년. 술, 시인의 대화, 사투리: 텍스트의 침묵과 전통의 목소리. 소리(366-380쪽). 커뮤니케이션북스.
2002년. 제3자 효과: 인간 이성의 한계와 매스 커뮤니케이션.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 47-79쪽.
1999년 5월. Journalistic Objectivity as a Useful Fiction (ICA 샌프란시스코 정기학회 발표).

시청률 같은 객관적 데이터에 대한 관심과 인간 언어를 중심에 놓는 학제적이고 해석학적인 접근이 두드러지는 상기 실적 가운데서도 2009년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론의 존재론적 전제'가, 세계 곳곳의 사관학교에서 지금도 가르치는 고전, 손자병법을 데이터 형이상학의 관점에서 해석했다는 점에서 논어와 데이터를 잇는 이 책 장자와 데이터에 가장 직접적으로 이어진 실적이라 하겠다.  

대표작
모두보기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