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순천의 바닷가 마을에서 태어났다. 197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동화 부문에 〈꽃다발〉로 당선의 영예를 안고 등단했다. 그 후 대한민국문학상(1983), 새싹문화상(1986), 한국불교아동문학상(1989), 동국문학상(1991), 세종아동문학상(1992), 소천아동문학상(2000)을 수상했다.
‘성인 동화’라는 새로운 문학 용어를 만들어 냈으며 한국 동화 작가로서는 처음으로 동화집 《물에서 나온 새》가 독일에서, 《오세암》은 프랑스에서 번역 출간되었다. 마해송, 이원수로 이어지는 아동 문학의 전통을 잇는 인물로 평가받으며 모교인 동국대, 문학아카데미, 조선일보 신춘문예 심사 등을 통해 숱한 후학을 길러 온 교육자이기도 했다.
동화 작가, 방송 프로그램 진행자, 동국대 국문과 겸임 교수로 열정적인 활동을 하던 1998년 말에 간암이 발병했다. 죽음의 길에 섰던 그는 투병 중에도 손에서 글을 놓지 않았으며 그가 겪은 고통, 삶에 대한 의지, 자기 성찰을 담은 에세이집 《눈을 감고 보는 길》을 펴냈고, 환경 문제를 다룬 동화집 《푸른수평선은 왜 멀어지는가》, 첫 시집 《너를 생각하는 것이 나의 일생이었지》를 펴내며 마지막 문학혼을 불살랐다. 평생 소년의 마음을 잃지 않고 맑게 살았던 정채봉은 2001년 1월, 동화처럼 눈 내리는 날 짧은 생을 마감했다.
저는 어렸을 적에 이야기를 참 좋아하였습니다. 먹을 것 보다는 이야기를 먼저 내놓으라고 할머니를 조르곤 하였습니다. 지금도 잊어버리지 않고 생생하게 떠오르는 아련한 풍경이었습니다. 여름날 밤의 시골집 마당에서였습니다. 봉숭아꽃이 피어있는 장독대 가에는 감나무 또한 있었지요. 할머니는 그 평상 위에서 저한테 이야기를 들려주곤 하였습니다.
그 시절, 할머니의 무릎 베개위에 누워 듣던 이야기. "옛날 옛적에.."
흥부놀부며, 콩쥐 팥쥐며, 해님이 되고 달님이 된 오누이는 어린 저의 가슴을 뛰게 하였고, 눈물을 나게 하였으며 환희를 안겨 주기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동네 형들에게서 빌려 읽었던 세계명작동화집.
평상 위에 누워 책을 읽다가 감나무사이로 불어 온 바람에 살며시 잠이 들면 저는 꿈 속에서 끝없는 미지의 세계로 여행을 떠나곤 했지요. 아, 지금 떠오르는군요. 어느날, 평상 위에서 잠이 깨어 바라본 하늘의 반짝이던 수많은 별들이.
그 별들은 이야기 속의 착한 주인공들이 하늘에 자리를 잡고 앉아서 저한테 손을 흔들고 있는 모습이라고 생각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