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에서 영어교육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 하와이대학교 ESL학과 객원교수와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현재는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명예회장, 대한영어교육연구학회 회장, 한국영어교육학회연합회장, 교육부 영어과교육과정심의위원장, 공주대학교 영어교육연구소장,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 및 번역서]
『영어교육의 이슈 분석』, 『영어교육 평가방법』, 『영어교육사』, 『영어 교수학습론 2, 3』, 『영어 독해력 교육의 이론과 실제』, 『English Reading Drills 1, 2』, 『어린이 영어교육 1, 2, 3』, 『교사를 위한 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제2언어 습득론』, 『영어 교수학습론』, 『문화의 이해로 가르치는 영어』, 『영어교사 연수와 현장 연구방법』, 『제2언어 교수학습』, 『영어 읽기의 새로운 기법을 활용한 교실수업 지도방법』 외 다수
19세기 말부터 시도된 외국어 교수방법은 끊임없이 변화되어 왔다. 문법 번역식 교수법으로부터 출발하여 직접식 교수법, 청화식 교수법 그리고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도전’과 ‘반응’의 함수 관계 속에서 발전적인 패러다임을 지향해 왔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과 성과를 창출해내는 원동력은 다름 아닌 ‘연구’에 기인한 것으로 보아진다. 20세기의 발전된 총체적 문화ㆍ문명의 시대를 뒤로 하고 새로운 시대를 살고 있는 21세기의 지구촌은 ‘지식ㆍ정보화 사회’라는 이름에 걸맞게 모든 방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영어교육 연구 분야에서도 예외 없이 수많은 연구물과 교수학습 자료가 홍수처럼 쏟아지고 있음은 잘 알려진 일이다. 사회가 이와 같이 발전적인 경쟁체계 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있으므로 어느 분야이든 진정한 성과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이 더욱 중요한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은 역사적으로 구한말 외국 선교사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되고 일제 식민기를 거쳐 해방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 세기를 넘어 시행되어 왔다. 먼 역사는 차치하고 최근의 상황에서 주요 이슈들을 열거해보면, ‘인정제 교과서의 채택과 사용’, ‘수준별 수업’, ‘자기주도 학습’, ‘원어민 교사의 활용’, ‘영어교사 심화연수’, ‘EBS 영어 학습 강화’, ‘영어 전용교실 활용’, ‘방과후 영어학습 활동 실시’, ‘영어 강의’, ‘국가영어능력시험(NEAT)의 시행’, ‘영어 전문강사의 활용’, ‘국제학교 운영’ 등 다양한 정책과 활동이 실시되고 있다. 보다 나은 영어교육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 다방면으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국가적으로 커다란 비중을 두어 진력해온 이 막중한 책무를 중ㆍ장기적으로 발전시켜 개인의 발전과 국가의 부흥을 도모할 수 있는 하나의 열쇠는 진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영어교육 연구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영어교육에 종사하면서 보다 나은 교수학습 효과를 거두기 위해 우수한 연구에 필요한 이론과 방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제 1장에서는 '연구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연구의 정의, 연구의 목적과 주제, 좋은 연구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연구의 유형'에 관하여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기술적 연구와 실험 연구, 양적연구와 질적연구 등을 기술하였다. 제 3장에서는 '연구 논문 작성절차'에 관하여 연구 주제의 선정, 체계적인 연구방법, 연구 계획서 및 연구 논문의 작성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 4장부터 제 12장까지는 연구방법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다양한 연구들을 이론과 실제면에서 고찰하였다. 제 4장에서는 '영어교육 현장 연구'에 관하여 현장 연구의 개념, 기본원리, 종류, 모형과 실행 절차, 타당도와 종류 등을 소개하였다. 제 5장에서는 '실험 연구'에 관하여 실험 연구의 정의, 특징, 설계원칙, 타당도 그리고 실험 연구 사례 등을 진술하였다. 제 6장은 '조사 연구'의 정의, 방법 및 도구, 결과 분석과 보고서 작성 양식에 관하여 진술하였다. 제 7장은 '관찰 연구'의 정의, 관찰기법 및 도구, 결과 분석 및 기술 등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제 8장에서는 '일지 연구'의 정의, 방법 및 도구, 자료분석 등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 9장 '내성적 연구'에서는 내성 연구의 필요성 및 역사적 배경, 연구 유형과 연구의 전망에 관하여 소개하였다. 제 10장은 '사례 연구'의 정의, 설계, 절차, 장단점을 기술하고 사례 연구 예시를 제공하였다. 제 11장 '설문조사 연구'에서는 조사 연구의 범위, 설계, 결과 분석 처리와 예시를 제공하였다. 제 12장 '면담 조사 연구'에서는 면담 조사의 목적 및 유형, 면담 조사의 실행 및 자료 분석에 관하여 소개하였다.
이상에서 소개한 바와 같이 이 책은 영어교육 연구와 나아가서 전반적인 학문분야의 연구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으므로 영어 교수자, 전문 연구자 또는 대학원생을 포함한 모든 연구자에게 유용한 연구방법 지침서로 활용될 수 있기를 감히 기대해본다.
끝으로, 이 책의 집필에 참여하신 공동저자인 이현구 교수, 송해성 교수, 김현진 교수 그리고 장형지 교수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아울러 이 책의 출판을 흔쾌히 수락해주신 한국문화사 김진수 사장과 편집진 여러분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4년 12월 초겨울
공주대학교 신관동 캠퍼스에서
임 병 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