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박사, 한국사
제주에서 나고, 자라, 제주에서 살고 있다. 일제강점기를 높은 기개, 뜨거운 울분, 서늘한 외로움, 굴하지 않는 결기로 산 제주 사람들의 삶을 두 손 모은 존경의 마음으로 모아 세상에 내보이려 게으르게 노력하고 있다.
제주, 불교, 여성. 저자가 붙잡고 있는 연구 범위다.
저서
한금순, 한국 근대 제주불교사(경인문화사, 2013)
한금순, 제주법정사항일운동(서귀포신문, 2018.)
논문
「李衡祥의 절 오백 당 오백 철폐, 그 설화와 역사의 교차점」, 제주역사문화제15호, 제주도사연구회, 2006.
「1918년 제주도 법정사항일운동 관련 형사사건부 분석」, 대각사상제12집(대각사상연구원, 2009.12)
「제주도 존자암 고(考)」 대각사상제16집(대각사상연구원, 2012.2)
한국불교민속학회․연등회보존위원회, 「제주도 연등절의 시대적 변천」, 연등회의 종합적 고찰, 민속원, 2013
「최정숙의 3․1운동 재판 관련 문서 분석」, 제주도연구44집, 제주학회, 2015.
「최정숙 독립운동 재판관련 문서 자료집 해제」, 최정숙 독립운동 관련 판결문 자료집, 제주특별자치도 보훈청 제주항일기념관, 2016.
「17세기 제주도 여정(女丁)의 성격-군역(軍役) 부담에 대한 고찰」, 탐라문화제53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6.
「제주여교사 1호 강평국 독립운동연구 자료조사 해제」, 제주여교사 1호 강평국 독립운동연구 자료조사 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 2017.
「유배인들이 제주 불교에 끼친 영향」, 대각사상제28집, 대각사상연구원, 2017.
「‘제주한라산신제단법당’과 제주불교」, 대각사상제29집, 대각사상연구원, 2018.
「제주4.3항쟁과 제주불교의 사회 참여활동」, 대각사상 대각사상연구원, 제31집, 2019.
「제주법정사항일운동 ‘정구용 판결문’ 분석」, 대각사상 대각사상연구원, 제34집, 2020.
「강평국의 삼일운동 참여와 수감」, 제주도연구제51집, 제주학회, 2019.
「강평국의 글 <여자해방의 잡감(雜感)>」, 제주도연구제53집,제주학회, 2020.
「1920년대 제주여자청년회의 성격과 활동」, 제주도연구제56집, 제주학회, 2021.
「강평국의 일본에서의 민족운동」, 제주도연구제58집, 제주학회, 2022.
“시대를 짊어지다.”
강평국을 다 정리하고 나의 머리 속에 엉기어 모인 문장이다.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을 연구하다 강평국까지 이르렀다.
행적을 찾아 치켜 좇아가 본 백여 년 전의 삶은,
불안하고 고단했음.
뒤따라 쫓아가 보는 근대 시대의 새로운 세상은
날마다 낯선 변화로 널뛰고 있었고,
가슴 설렘보다 두려움과 불안이었다.
희망은 분노와 뒤섞여 어슴푸레할 뿐이었다.
신념을 밀고 나아가게 하는 굳은 심지는 얼마나 무거운 짐인가.
여기 강평국을 모아냄은
그대는 분명한 희망의 파란 불꽃이었음을
온 생을 불태운 그대의 바람 덕에
우리는 꽃밭 속임을
확인시켜 드리고 싶은 강렬한 존경의 모음이다.
그의 행적에 울컥하고 가슴이 떨림에도
우상화를 경계하며
기록을 근거로 건조하게 쓰려 애써야 했다.
오늘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기억한다는 행동이다.
기억이나마 해주지 않으면 세상을 짊어졌던 그의 짐이 여전히 무거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