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

이름:고재석

최근작
2022년 5월 <한용운의 삶과 문학, 당신을 보았습니다>

고재석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편저와 번역서로 「한국불교문학연구」(상·하) 「석전 박한영의 생애와 시문학」 「만해학술연구총서」(전5권) 「일본문학· 사상명저사전」 「근대 일본인의 발상형식」 「사상사 의 방법과 대상」 「일본메이지문학사」 「일본다이쇼문학사」 「일본 쇼와문학사」 「일본현대문학사」(상·하) 등 다수. 저서로 「한국근대문학지성사」 「좋은 글을 쓰는 34가지 기술」 「숨어있는 황금의 꽃」 「불가능한 꿈을 꾸는 자의 자화상」 「탕지아唐家의 붉은 기 등」「한용운과 그의 시대」 「수수재 독서일기」 등이 있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수수재 독서일기> - 2016년 8월  더보기

초등학교 시절, 그림일기는 가장 힘들고 즐거웠던 방학숙제였다. 글과 그림의 행복한 만남이었다. 그러나 중학교에 진학하면서 가난한 사람은 미술을 할 수 없다는 편견과 단정에 무릎을 꿇고 일기장으로 숨어들었다. 문학을 사랑해서 그랬던 것은 아니다. 불안했던 것이다. 상처받은 영혼처럼 동굴에 갇혀 살던 어느 날, 독서라는 영혼의 여행에 동참하고 거기서 받은 느낌을 일기장에 적고 싶었다. 고백과 반성으로 요약되는 자기발견에 지쳤는지 모른다. 자기 자신을 포함한 모든 존재에 대한 이의제기로서의 문학을 뒤늦게 만나는 과정은 참담하지만 황홀했다. 햇빛 쏟아지는 광장에서,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다양한 사람들과 마주보며 거리낌 없이 대화하는 기분이었다. 문학도 미술도 사랑했기에 미워했음을 깨 달았다. 이런 연유로 여기서 다루는 책은 다양하다. 우리들의 개인적 경험을 넘어서서 의미를 추구하는 노력의 집대성이라면 수용하고자 했다. 또한 독서를 통한 감·동·변·화의 과정을 기록했을 뿐, 그 책의 가치나 작가 정보는 말하지 않았다. 독서가 이해관계를 초월하고 어떤 특정한 목적에 예속되지 않는 자기실현의 다른 이름이라면, 나머지는 독자의 몫이라고 생각했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