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상섭의 작품 경향은 이광수류의 선각자 의식에서 벗어나 개인적, 실존적 고뇌를 사회적, 보편적 고뇌로 치환시키고 반대로 사회적, 보편적 고뇌를 개인의 실존과 결부시켜 이해하려는 근대적 예술인 특유의 자각을 담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자각은 그가 특정한 독자층을 기반으로 하여 자시의 작품을 썼다는 점에서 잘 나타난다. 즉 염상섭은 식민지 조선의 현실 내에서 자신의 위치와 자아를 확인하고 발견해가는 양식있는 부르조아지(시민계습)을 작품의 등장 인물과 독자층으로 흡수하고 있는 것이다. 과거 이광수의 문학이 조선의 전 민족을 독자층으로 지향함으로써 현실적으로 모호하고 관념적인 약점을 지녔다면 염상섭의 이러한 나름대로의 뚜렷한 인식적 색깔은 긍정적 의미에서 시민 문학의 성장을 기대해 볼만한 진취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3.1운동의 성격 자체가 전민족의 의지를 하나로 모았던 시민 혁명의 모습을 띠고 있었던 만큼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는 그의 작품들은 일제의 교활한 문화 정책의 허실을 주의깊게 주시하는 현실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이런 경향은 중인계층의 서울 토박이 집안에서 태어난 그의 개인사와도 무관하지는 않다. 전통적으로 갑신정변과 갑오농민전쟁(동학혁명) 등 개혁의 배후에는 중인들의 근대적 자각이 있었던 것처럼 그의 중인 의식 안에는 당대의 현실을 실제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통찰력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이 김동인 류의 소시민성과 구별될 수 있는 근거도 당대의 현실을 깊이 있게 주시할 수 잇는 양식있는 비판력 때문이라고 하겠다. 그의 문체가 점액질의 끈끈함으로 표현되는 까닭도 지속적인 사고의 연장이 작품을 이끌어가는 그의 근대적 지식인 성향에서 야기되는 한 특질이다. 자연주의의 왜곡된 수입으로 간혹 논란이 있었으나 그의 인식의 혼란은 인정되더라도 특정 사조의 유입은 각 나라와 민족의 특수한 상황과 여건에 따라 변호될 수 있는 것인 만하다. 당시 자연주의적 시각으로 그가 발견해 낸 것은 유교적 세계관 안에 존재하는 개인의 문제였다. 개인의식과 개성을 발견하고 이를 당시의 현실 감각으로 구체화시키려고 한 데서 그의 작품은 좀더 근대적 성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