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동해 해녀들은 경북 동해 연안을 가장 잘 아는 전문가다. 읍내 골목길은 몰라도 앞바다 바위틈은 환하게 안다는 그들은 동해의 길잡이다. 그들은 언제 무엇이 어떻게 살다 사라져 갔는지, 왜 이곳의 산물들이 맛있는지, 그것들을 어떻게 활용해 왔는지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이들이 사용하는 어구 역시 수중 지형에 따라 발달하고, 개인 취향에 따라 변형되어 왔다. 또주부인 탓에 채취 품목을 이용한 그들만의 조리법과 민간요법 활용 역시 다양하다. 이를 통해 부가가치 품목들이 많이 생성된다면 어촌의 미래 문화 조감도를 그려 볼 수 있을 것이다.
(…)
그들은 운명 공동체 못지않은 관계로 바다와 함께했다. 어미가 물질을 나간 바닷가 모래밭에선 아이들이 함께 자랐고, 조류에 휩쓸리는 위험한 순간마다 해녀에겐 해녀들이 있었다. 서로 염려하며 북돋우고 이끌고 따르며 생을 함께해 왔다. 겨울이 한껏 깊어 가는 동짓달 바다 위에 두룽박이 떠 있다. 오늘도 해녀들은 까맣게 온점, 반점 찍으며 동해안 사람살이 문장을 써내고 있다. 그녀들로 인해 바다는 또 한 권의 동해 경전(經典)이 된다.
2020년 겨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