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예술
국내저자 > 번역

이름:노윤희

최근작
2010년 9월 <바로크와 로코코 : 극적인 역동성과 우아한 세련미>

바로크와 로코코 : 극적인 역동성과 우아한 세련미

극적인 역동성과 우아한 세련미_바로크와 로코코 18세기 유럽의 미술은 로코코와 신고전주의, 그랑 투르와 베두타 회화, 아카데미와 왕립공예공장 등이 새로이 등장했다. 영국과 프랑스에서 일어난 혁명과 계몽주의 철학의 영향을 받아 정치, 사회, 예술, 문화 전반에 걸쳐 대대적인 변화가 일어난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이 시기에 가장 크게 발전한 미술사조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프랑스의 루이 15세 왕정을 중심으로 발전한 로코코와 신흥 부르주아 계급을 대표하는 사상인 계몽주의로 인해 탄생한 신고전주의를 들 수 있다. 18세기 초반을 지배한 로코코 양식은 이전의 화려하고 웅장한 바로크 양식과는 대조적으로, 부드러운 곡선과 엷은 색채의 향연을 통해 세련미와 경쾌함을 강조했다. 이 양식은 가벼운 유희와 오락을 애호하던 당시 귀족들로부터 각광을 받았으며, 특히 실내장식 분야에서 꽃을 피웠다. 로코코 미술을 대표하는 인물에는 장 앙투안 와토나 프랑수아 부셰와 같은 화가뿐 아니라, 현대 산업디자인의 토대를 마련한 토머스 치펀데일, 앙드레 샤를르 불, 자코모 세르포타, 프란츠 안톤 부스텔리 등 수세기 동안 비주류 예술로 분류되어 왔던 공예 분야의 거장들이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1750년대는 서양 미술사에 있어 근대와 현대를 나누는 분기점으로 여겨진다. 18세기 후반부터 미술은 더 이상 개별적인 영역을 지닌 예술의 양상이 아닌, 문학, 사상, 음악, 예술이론 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공존하며 새로운 개념의 미술을 창조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18세기 후반의 유럽에서 계몽주의와 고고학, 고대의 고전주의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탄생한 새로운 예술적 사조가 바로 신고전주의이다. 빙켈만과 멩스에 의해 완성된 신고전주의 이론은 카노바의 눈부시게 흰 대리석 조각상과 고대의 도덕성과 가치관을 되살려 프랑스 혁명에 기여한 자크 루이 다비드의 회화로 형상화되었다. - ‘옮긴이의 말’ 중에서

아방가르드 :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예술 세계

20세기 초반부터 중반까지 서양에서는 아르누보, 표현주의, 원시주의, 야수주의, 미래주의, 추상주의, 다다이즘, 구성주의, 바우하우스, 초현실주의 등 우리에게 익숙한 수많은 예술사조가 동시다발적으로 탄생했다. 기득권이 지배하고 이들을 대표하는 기존의 예술계가 지닌, 극도로 보수적인 경향을 타파하는 것을 목적으로 19세기 후반부터 일어났다. 이때의 예술운동은 세계대전과 10월 혁명, 나치즘과 파시즘, 스페인 내전 등 역사적으로 비극적인 사태가 연달아 일어나 미술뿐 아니라 문학, 음악, 연극, 영화, 사진, 패션 등 예술의 모든 분야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결국 형태와 공간의 개념 자체를 부정하는 추상주의를 낳았다. 아방가르드 작가들은 예술가가 지닌 사상이나 미적인 표현의 자유를 매우 중시했다. ‘아방가르드’라는 명칭 그대로 극도로 실험적이며 도발적이고, 어떻게 보면 거의 도박에 가까운 성향을 지닌 예술을 추구하였다. 이들은 자신들이 지닌 이념을 대중에게 전파하기 위해 예술단체를 조직하고 이론에 대한 해석이나 선언문, 작품이 실린 정기간행물을 발행하였다. 20세기 초반의 아방가르드 미술이 지닌 독창성과 이 시기에 활동한 다수의 화가들이 지닌 세계적인 명성으로 인해, 이 시기에 대한 서적을 시중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현대미술 : 대중성과 다양성의 예술

‘주요 용어’에서 앵포르멜부터 팝아트, 해프닝과 퍼포먼스, 미니멀 아트, 비디오 아트, 환경예술, 신야수주의, 사진예술, 현재 부상하고 있는 중국의 현대미술까지 20세기 중반부터 오늘날까지의 주요 예술운동을 약 십년 단위로 잘라 분류하고, 각 시기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다양한 장르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다. ‘예술 중심지’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 종결 후 세계의 문화적 수도이자 현대예술의 중심지로 성장한 뉴욕, 세계적인 예술 산업과 패션의 도시 밀라노, 네오리얼리즘 영화와 유럽의 팝아트, 트랜스아방가르드의 본고장 로마, 젊은 예술인들의 도시이자 세계 예술계를 이끄는 런던, 동?서독의 통일 후 새로운 정치?문화적 세력의 표상으로 떠오른 베를린, 중국의 문화 및 경제적 수도이며 무차별적인 소비문화를 대표하는 상하이를 포함한 세계의 주요 예술도시들을 소개한다. 뿐만 아니라 현대미술 산업의 중심을 이루는 미술관과 화랑, 경매와 아트페어, 베네치아와 카셀 등에서 열리는 국제 현대미술전을 다루고 있다. 마지막으로 ‘대표적 예술가’에서는 20세기 중반부터 오늘날까지의 미술계를 이끌어온 거장들의 약력과 함께 주요활동지, 작품의 유형, 주요작품, 관련된 예술운동이나 인물 등에 관한 간략하면서도 풍부한 자료를 제시한다.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