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인에게는 많은 고민과 사색이 필요합니다.
대략 2006년대 말부터 우연한 계기로 교회 신문에 매달 한편씩 고정칼럼을 쓰게 되었습니다. 주된 독자층이 교인이다 보니 이것저것 살면서 부딪치는 문제나 사회적 이슈를 신앙과 성경의 관점에서 보면서도 인문학적 처지에서 생각할 거리를 주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 두 지점에서 균형을 잡는 게 생각만큼 쉽지 않았는데 그래도 매번 마감을 잘 지키면서 은혜롭게 글을 쓸 수 있었습니다. 여기 모은 글이 대단한 전문성이나 철학적 문제의식을 보여주지는 않지만 매 순간 저의 머리와 가슴에서 일었던 깊은 고민과 생각, 당시 사회적 분위기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것은 또 하나 신앙을 지닌 지식인의 고백이자 시대의 창이기도 합니다.
신앙 칼럼은 여러 면에서 사회신문이나 잡지에 쓰는 글과 다릅니다. 신앙의 깊이나 믿음의 성숙함이 남다른 분들이 적지 않지만, 전문가입장에서 신앙적 관점과 전문성을 동시에 보여주어야 하니 작업이 그리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마음에도 없는 말을 쓰거나 특정한 목적을 위해 글을 쓸 수는 없었고, 자유롭되 지나치게 세속적이지 않게 고민을 투영하려다 보니 참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따지고 보면 신앙이나 철학이나 둘 다 진리를 대상으로 삼습니다. 그리고 눈에 보이는 대상이 아닌 그 너머의 것을 고민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둘이 세상의 사태를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방향은 너무 다르기도 합니다. 고민이 생기는 지점이 거기입니다.
성경에서 좋아하는 말씀 중 하나가 “진리를 알찌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요한 8:32) 입니다. 진리는 세상에서 말하는 학문적 진리나 실험과 계산으로 검증이 가능한 과학적 진리, 이른바 인식론적 진리(에피스테메)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바로 이 구절 앞을 보면 예수께서 자기를 믿고 따르는 사람들에게 너희가 내 말에 거하면 참 내 제자가 되고, 진리를 안다고 말씀하시기 때문입니다. 성경이 말하는 진리는 믿음, 신뢰, 절대성을 뜻하는 ‘피스티스’입니다. 나 자신을 보면 지혜의 학이자 진리를 엄밀하게 탐구하는 철학을 연구하는 비판적 학자로서 학문적 정체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초월적 신과 구원을 믿는 믿음의 진리도 끝까지 붙잡으려고 하는 기독인이기도 합니다. 제 칼럼에는 그런 두 정체성이 주는 긴장과 융합, 때로 절충이 잘 나타나 있습니다.
15년을 넘게 이어지는 사색과 성찰, 그리고 기도와 말씀을 통해 늘 새롭게 영글어지고, 풍성해지는 깨달음을 얻는 가운데 여기 던져진 많은 주제가 지금도 계속 제 삶에는 이어지고 있습니다. 흔히 신앙은 성찰하지 않고 무조건 믿는 것, 좁은 길을 가기 위해 세상의 모든 것에 눈을 감는 맹목적인 실천이라 오해하지만 진정 진리를 안다면 그냥 세상에 취해 사는 사람들보다 더 많이 고민하고 더 많이 실천하고, 더 많이 나누려고 해야 합니다. 질문을 던지고 생각하는 태도를 부정하는 것 자체가 비신앙적이면서, 이 세상에서 이뤄지는 사회적 삶을 편향되게 만들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지금까지 쓸 수 있게 이 모든 것을 허락하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특별히 2012년부터 올해까지 쓴 글을 모아 출판해준 진달래 출판사 오태영 대표님에게도 감사를 표합니다.
2022년 9월 22일 김석
라캉은 프로이트의 충실한 주석가도 아니며, 오히려 프로이트와 많은 면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럼으로 라캉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프로이트의 주요 개념들을 먼저 알고 있어야 하며, 어느 부분에서 라캉이 그것을 자신의 이론과 시각으로 개조했는지를 짚어낼 수 있어야 한다. ... 하지만 전문적인 연구자가 아니라면 너무 큰 욕심 내지 말고 이 책을 지도 삼아 가능한 범위 내에서 라캉이라는 거인을 탐구하면 된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