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유작 『딕테』를 기다려 왔다니. 누군가에게 여전히 낯선 이름일 수 있지만, 2020년 이후부터 예술계와 문학계에서 우리는 그의 이름을 심심치 않게 발견할 수 있었다. 기억하기로는 지난 2020년, 뉴욕타임스가 차의 사후 40년 만에 ‘늦은 부고(Overlooked)’ 연재 시리즈에서 차를 조명한 기사(링크)가 시작이었을 것이다. 뒤이어 2022년 한국계 미국 작가 캐시 박 홍의 에세이집 '마이너 필링스'(minor feelings)에 등장하면서 국내에서도 차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다. 같은 해 휘트니 비엔날레에서는 차의 예술 작품을 재전시하며 『딕테』 전문을 읽는 마라톤 리딩 행사를 열기도 했다.
<딕테>에 대한 뜨거운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차학경이 어떤 인물인가를 먼저 짚고 나가야 할 것이다. 문학, 영화, 사진, 설치 작업, 연기, 행위예술…. 그를 단 하나의 장르로 정의하기는 어렵다. 8년 남짓 활동하며 남기고 간 50여점의 작품만이 그를 설명할 뿐이다. 차는 1951년에 부산에서 태어나 11세에 미국으로 이주한다. 차와 차의 가족이 살아온 삶은 초기 한국인 디아스포라의 전형인 셈이다. UC 버클리 대학교에서 비교문학과 미술을 전공하고, 파리에서는 구조주의 언어학과 프랑스 영화 이론을 공부한 그는 1980년 뉴욕으로 거처를 옮겨 작품 활동을 이어가는 중 사진작가 리처드 반스(Richard Barnes)와 결혼한다. 1982년에는 『딕테』의 가제본을 완성해 부모님에게 보낸다....『딕테』는 그가 세상을 떠난 직후 출간됐다. 예술 작품들 중 유일하게 ‘책’의 형태로 남은 작품이다.
BAZAAR 기사 전문 읽기 >